안녕하세요?
탄소중립포인트 에너지 프로그램은 에너지 사용량을 줄여 환경보호에 기여하는 개인과 법인, 학교, 단지 등에 인센티브와 포인트를 지급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이 글에서는 참여조건, 참여대상, 신청방법, 포인트 적립 방법 등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탄소중립포인트 참여조건 및 참여대상
탄소중립포인트 에너지 프로그램에 참여하려면 에너지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는 계량기가 부착되어 있거나, 다른 객관적인 방법으로 에너지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어야 합니다. 참여대상은 개인, 상업가정, 상업시설, 단지아파트, 학교, 일반건물 등이 포함됩니다.
탄소중립포인트 신청방법
인터넷 신청과 방문 신청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인터넷 신청은 한전 전기세 탄소중립포인트 에너지 누리집(cpoint.or.kr)에서 가입할 수 있으며, 실명인증 및 약관동의, 상세정보 입력, 가입완료의 단계를 거칩니다. 방문 신청은 관할 시·군·구 담당 부서에 방문하여 참여 신청서를 작성합니다. 서울특별시 거주자는 에코마일리지 홈페이지(ecomileage.seoul.go.kr)에서 가입할 수 있습니다.
사용량 수집 및 기준사용량 산정 방법
사용량은 월별 또는 반기별로 수집되며, 에너지(전기, 수도, 가스)별 수집 시기가 상이할 수 있습니다. 기준사용량은 탄소포인트 산정기간의 시점으로부터 과거 1년 또는 2년간의 사용량을 평균한 값입니다. 만약 기준사용량이 과거 1년 밖에 없다면, 그것을 기준사용량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반기별 기준사용량 산정 시 누락되는 월이 있는 경우에는 나머지 월의 기준사용량 평균을 적용하여 합산합니다(누락되는 월수는 2개월 이하로 한정).
탄소포인트 지급기준 및 인센티브 산정
탄소포인트는 온실가스 감축률에 따라 지급되며, 연 2회(상·하반기) 지급됩니다. 감축 인센티브는 감축률 5% 이상인 참여자에게 지급되며, 인센티브 기준은 운영지침[별표1]에 따릅니다. 인센티브는 그린카드 포인트로 제공되며, 운영사를 경유하여 지급됩니다. 지자체 예산 사정에 따라 1Point 당 최대 2원 이내로 지급됩니다.
개인참여자와 법인, 학교, 단지 등에 대한 온실가스 감축률에 따른 인센티브 지급기준은 다릅니다. 개인참여자의 경우, 감축률에 따라 전기, 상수도, 도시가스별로 다른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유지 인센티브는 연속적으로 5% 이상 감축하여 인센티브를 받은 참여자가 이어서 0% 초과 ~ 5% 미만의 감축률을 유지할 경우 지급됩니다.
법인, 학교, 단지 등에 대한 인센티브 지급기준 역시 감축률에 따라 다릅니다. 유지 인센티브는 4회 이상 연속으로 5% 이상 감축하여 인센티브를 받은 참여자가 이어서 0% 초과 ~ 5% 미만의 감축률을 유지할 경우 지급됩니다.
탄소중립포인트 인센티브 종류로는 현금, 상품권, 종량제봉투, 지방세 납부, 기부금, 교통카드 충전, 공공시설 이용 바우처 등으로 선택할 수 있습니다. 개별 지자체마다 인센티브를 지원하는 종류가 다른데요. 보통은 탄소포인트로 현금으로 교환하거나 상품권으로 교환하는 것이 가장 많습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숙취해소제, 컨디션 상쾌환, 레디큐, 여명은 효과가 있을까?
'각종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5월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하기! (0) | 2023.04.27 |
---|---|
SKT, KT, LG 통신비 할인 절약 제휴 신용카드 (0) | 2023.04.25 |
2023년 근로장려금 신청 가이드: 자격 요건, 지급액, 지급일 및 신청 방법 (0) | 2023.04.22 |
펫보험 비교 삼성화재 애니펫 vs 메리츠 펫퍼민트 (0) | 2023.04.22 |
신세계상품권 사용처와 현금화 방법 (0) | 2023.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