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내 사업 운영에 필요한

16oz? 16온스? 몇 리터(mL)일까? 온스 단위 계산 방법과 법정계량단위 사용 의무화!

by 사장님 창업 매뉴얼 2025. 3. 19.
 

매장을 운영하거나 온라인에서 식자재를 구매하거나 메뉴의 무게와 용량을 표시할 때, ‘온스(oz)’, ‘인치(inch)’, ‘cc’ 등의 단위를 자주 사용하셨을 것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단위들은 법으로 정한 계량 단위가 아니며, 사용 시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온스를 전환하면 몇 밀리 리터인지 이번 포스팅에서는 법정계량단위의 중요성과 비법정계량단위 사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 그리고 올바른 단위 사용 방법에 대해 알려드릴게요!

 

법정계량단위란 무엇인가요?

법정계량단위란 정확하고 공정한 거래를 위해 법률에서 규정한 계량 단위를 의미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국제단위계(SI)를 기반으로 한 단위들이 법정계량단위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길이는 미터(m), 무게는 킬로그램(kg), 부피는 리터(L)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반면, ‘온스(oz)’, ‘파운드(lb)’, ‘인치(inch)’, ‘피트(ft)’, ‘cc’, ‘평’, ‘돈’, ‘근’ 등은 비법정계량단위로 분류되어 사용이 제한됩니다.

 

 

비법정계량단위 사용 시 과태료 부과

‘계량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누구든지 비법정단위를 계량이나 광고에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를 위반할 경우 200만 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규정은 2024년 7월 10일부터 시행되었으며, 정확한 계량과 공정한 거래를 보장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현재 네이버 등 주요 온라인 플랫폼에서는 비법정계량단위를 사용하는 상품에 대해 노출을 제한하거나 제재 조치를 취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배민이나 요기요 등 배달 앱 및 온라인 식자재 판매 플랫폼에서도 법정계량단위로 상품을 표시할 예정입니다.

 

법정계량 단위 계산 방법 (16oz 는 473ml)

그렇다면 기존에 사용하던 비법정계량단위를 어떻게 법정계량단위로 전환할 수 있을까요? 아래 몇 가지 예시를 통해 쉽게 변환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온스(oz) → 밀리리터(mL)

  • 1 온스(oz) ≈ 29.5735 mL
  • 예시: 16온스(oz) → 약 473mL
기존 사용 중인 단위 변경되는 법정단위
7온스(oz) 약 207mL
14온스(oz) 약 414mL
16온스(oz) 약 473mL
20온스(oz) 약 591mL
24온스(oz) 약 710mL
32온스(oz) 약 946mL

2) 인치(inch) → 센티미터(cm)

  • 1 인치(inch) = 2.54 cm
  • 예시: 13인치(inch) → 약 33.02cm
기존 사용 중인 단위 변경되는 법정단위
8인치(inch) 약 20.32cm
9인치(inch) 약 22.86cm
11인치(inch) 약 27.94cm
12인치(inch) 약 30.48cm
13인치(inch) 약 33.02cm

3) cc → 밀리리터(mL)

cc는 mL와 용량이 같아 숫자는 그대로이고 단위만 mL로 바꾸면 됩니다.

기존 사용 중인 단위 변경되는 법정단위
520cc 520mL
750cc 750mL
1000cc 1000mL
1500cc 1500mL

 

 

 

 

결론

카페나 매장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16oz 컵 단위나 인치가 많이 익숙하시겠지만 이제 법정계량단위의 사용은 정확하고 공정한 거래를 위해 필수적입니다. 비법정계량단위를 사용하면 과태료 부과 등의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므로, 올바른 단위 사용에 익숙해지는 것이 중요합니다.위의 변환표를 참고하여 정확한 계량단위를 사용하고, 필요한 물건을 빠르고 정확하게 구매하시길 바랍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영세 소상공인 신용카드 수수료 인하, 우대 수수료 환급 가능!

 

영세 소상공인 신용카드 수수료 인하, 우대 수수료 환급 가능!

최근 영세 소상공인 신용카드 수수료 인하 정책으로 영세·소상공인들에게 희소식이 전해졌습니다. 2025년 2월 14일부터 연 매출 30억 원 이하의 영세·중소 신용카드 가맹점 305만 9천 곳의 우대수

caculater.tistory.com

2025년 배리어프리 키오스크 의무화, 정부지원금으로 구매 가능?

 

2025년 배리어프리 키오스크 의무화, 정부지원금으로 구매 가능?

2023년 기준, 국내 키오스크 보급 대수는 약 53만 6천대로 2년 만에 2.5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치솟는 인건비와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키오스크 도입이 늘어나고 있지만, 앞으로는 반드시 배리어프

caculater.tistory.com